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 1. HER2 전이성 유방암이란?

HER2(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는 세포 성장과 분열에 관여하는 단백질입니다. 유방암 환자의 약 **20~25%**는 HER2 유전자 증폭 혹은 과발현을 보이며, 이는 종양의 공격성과 전이 가능성을 높입니다.
전이성 유방암은 암세포가 유방을 넘어 뼈, 간, 폐, 뇌 등 다른 장기로 퍼진 상태이며, 이 중 HER2 양성일 경우에는 표적 치료제를 통한 정밀 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 2. HER2 양성 vs HER2-low 유방암 비교
| 항목 | HER2 양성 유방암 (HER2-positive) | HER2-low 유방암 (HER2-low) |
| 정의 | HER2 단백질이 과발현되거나 HER2 유전자 증폭이 있는 유방암 | HER2 단백질 발현은 있지만 과발현/증폭은 없는 유방암 |
| 진단 기준 | - 면역조직화학(IHC) 3+ 또는 - IHC 2+ + FISH 양성 |
- IHC 1+ 또는 - IHC 2+ + FISH 음성 |
| HER2 유전자 상태 | 유전자 증폭 존재 | 유전자 증폭 없음 |
| HER2 단백 발현 수준 | 높음 | 낮음 (but 존재함) |
| 호르몬 수용체 (HR) | HR 양성 또는 음성 다양 | 대부분 HR 양성 (에스트로겐 수용체 +) |
| 암의 침습성 | 상대적으로 공격적, 빠른 진행 | 상대적으로 느린 진행 |
| 표적 치료 효과 | 기존 HER2 표적 치료제 효과 매우 높음 | 기존 약물은 효과 거의 없음 → 차세대 ADC(예: 엔허투)만 효과 |
| 대표 치료제 | 트라스트주주맙(Herceptin), 퍼투주맙, T-DM1, 엔허투 등 | 엔허투 (T-DXd) 유일하게 입증됨 |
| 전체 유방암 중 비율 | 약 20~25% | 약 45~55% (HER2 음성 중 절반 이상) |
| 예후 | 치료 없을 경우 예후 매우 나쁨, 표적 치료 시 생존율 향상 |
기존엔 HER2-로 간주되어 예후 다소 불리, 엔허투 이후 치료 기회 확대 |
| 치료 가능성 | 여러 치료 옵션 확보 | 최근에서야 치료 가능성 개척 중 |
HER2-low 유방암은 과거엔 ‘HER2 음성’으로 간주되어 표적 치료의 사각지대에 있었으나, 최근 새로운 약물의 등장으로 치료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 HER2 발현 수준에 따른 분류 요약
| IHC 결과 | FISH 검사 | 분류 | 과거 해석 | 현재 해석 |
| 3+ | 생략 가능 | HER2 양성 | HER2+ | HER2+ |
| 2+ | 양성 | HER2 양성 | HER2+ | HER2+ |
| 2+ | 음성 | HER2 음성 → 이제는 HER2-low | HER2- | HER2-low |
| 1+ | FISH 필요 없음 | HER2 음성 → 이제는 HER2-low | HER2- | HER2-low |
| 0 | FISH 필요 없음 | HER2 음성 | HER2- | HER2- |
✅ 3. 표적 치료제의 주요 발전

✅ 1) 트라스투주맙(허셉틴, Herceptin)
- 최초의 HER2 표적 치료제
- HER2 수용체에 결합하여 세포 성장 억제
- 항암제와 병용 시 생존율 향상 입증
- 1998년 FDA 승인
✅ 2) 퍼투주맙(Pertuzumab)
- 트라스투주맙과 다른 위치에 결합
- 이중 억제 효과
- 트라스투주맙과 병용 시 전이 유방암 환자의 무진행 생존 기간 연장
✅ 3) 트라스투주맙 엠탄신(T-DM1, Kadcyla)
- 또 다른 ADC 치료제
- 허셉틴에 항암물질 DM1을 결합
- 기존 HER2 양성 전이 유방암 치료제로 사용
✅ 4)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T-DXd, 상품명: Enhertu)항체-약물 접합체(ADC) 계열
- HER2-low 환자에게도 효과 있음
- 항체가 HER2에 결합 → 세포 내로 약물 주입 → 암세포 사멸 HER2전이성 유방암 표적 치료제 발전과 효과
- DESTINY-Breast04 임상 결과: HER2-low 환자 생존율 유의미하게 향상
- 2022년 HER2-low 치료 첫 승인
🔬 HER2 표적 치료제의 발전 과정
표적 치료는 암세포의 특정 분자(여기서는 HER2)를 직접 공격하여 정상세포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암을 억제합니다. HER2 표적 치료제는 다음과 같은 세대별 발전을 보여왔습니다:
| 세대 | 약물명 | 기전주요 | 특징 |
| 1세대 | 허셉틴 (트라스트주주맙) | HER2 항체 | 최초의 HER2 표적 치료제, 생존율 향상 입증 |
| 2세대 | 퍼제타 (퍼투주맙) | 이중 HER2 차단 | 허셉틴과 병용 시 시너지 효과 |
| 3세대 | 케싸일라 (T-DM1) | 항체-약물 접합체(ADC) | HER2+세포에 약물 전달, 내성 극복 |
| 4세대 | 엔허투 (T-DXd) | 차세대 ADC | 더 강력하고 긴 작용 지속 시간, 뇌 전이 효과 가능성 |
✅ 4. 치료 효과 및 생존율 변화
표적 치료제가 도입되기 전, HER2 양성 전이 유방암은 예후가 매우 나빴습니다. 그러나 트라스투주맙 도입 이후 생존율이 다음과 같이 개선되었습니다.
- 무치료시 평균 생존기간: 약 18개월 미만
- 표적 치료 병용 시: 평균 생존기간 50개월 이상
- T-DXd 치료군의 중간 생존율: HER2-low에서도 30개월 이상 유지
또한, 표적 치료제는 종양의 크기를 빠르게 줄이고, 기존 항암제보다 부작용이 비교적 적으며, 재발 방지 효과까지 입증되었습니다.
✅ 5. 표적 치료제의 한계와 극복
| 한계점 | 극복 방법 |
| 내성 발생 | 차세대 ADC(항체-약물접합체) 개발 |
| 심장독성 부작용 | 정기 심장기능 검사 병행 |
| HER2 발현의 이질성 | 정확한 진단 기법 도입(IHC+FISH 동시) |
| HER2-low 등 애매한 케이스 | 맞춤형 약물 개발 (ex. T-DXd) |
🧬 HER2-low이 중요한 이유는?
- 기존에는 치료 불가 대상이었으나,
- 2022년 DESTINY-Breast04 임상 결과를 통해 엔허투가 HER2-low 환자에게도 효과가 있음이 입증됨
- HER2-low 환자 수가 많아, 전체 유방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새 치료 기회를 얻게 됨
✅ 6. 앞으로의 전망
HER2 전이성 유방암 치료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밀의료 기반 진단 기술 확대
- HER2-low, HER2-ultralow에 대한 표적 치료제 개발
- 면역항암제 + 표적치료제 병용 연구 활성화
- 개인 유전체 분석 기반의 치료 전략 수립
🔍 요약
- HER2 전이성 유방암은 예후가 나쁜 유방암 유형 중 하나였지만, 표적 치료제 도입으로 생존율이 크게 개선됩니다
- 트라스투주맙, 퍼투주맙, T-DM1, T-DXd 등 다양한 치료제들이 개발되었으며, HER2 양성뿐 아니라 HER2-low 환자에게도 치료의 길이 열리고 있습니다
- HER2-low 유방암은 기존 HER2 음성으로 분류되었지만, HER2 단백질이 약간 발현되어 있고 엔허투 같은 차세대 표적 치료제로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HER2 발현 스펙트럼 전체를 아우르는 정밀한 맞춤 치료가 표준이 될 전망입니다.
반응형